«

»

12월 15

땅콩 리턴과 땅콩 박사 (1)

 

땅콩항공

 

소위 “땅콩 리턴” 이라는 것 때문에 한국 온 나라가 시끄러운 것 같습니다.

한국을 대표하는 항공사의 회장 딸이며 부사장인 여자가 미국 뉴욕의 JFK 공항에서 자사의 항공기 일등석을 탔는데 여승무원이 견과류를 매뉴얼대로 제공하지 않았다고 해서 여승무원과 비행기 사무장의 무릎을 꿇리고 심히 질타한 다음 이륙 직전의 비행기를 돌려서 사무장을 비행기에서 내리게 했다는 뉴스 말입니다.

사무장이 나중에 기자들과의 인터뷰에서 “그 모욕감과 인간적인 치욕은 겪어보지 않은 사람은 알 수 없을 것” 이라고 했고, 또 “부사장이 ‘당장 연락해서 비행기 세워. 나 비행기 못 가게 할 거야’라는 말을 하는 상황에서 제가 감히 오너 따님인 그분의 말을 어길 수 없었다”고 했다는 말을 듣고 열받지 않을 사람은 아마 별로 없을 것입니다.

 

땅콩

 

연일 이것에 관한 기사가 한국의 매스컴을 달구고 있고, 미국의 주요 신문에도 이것에 관한 기사가 등장하는 것을 보며 저 역시 열을 받다가 이런 생각이 문득 떠올랐습니다.

 

이런 유의 일이 어제 오늘의 얘기가 아니고, 이런 사건이 벌어질 때마다 항상 여론이 냄비 끓듯 하곤 했고 지금도 역시 예외가 아닌데, 결국 수그러들고 일단락 된 다음엔 어떻게 될까? 

지금까지 그래왔듯이 이번 경우도 아마 겉으론 조금 바뀌게 될지 몰라도 궁극적으로는 똑같은 일이 여기저기서 반복될 것이다.

왜냐하면, 이 사람이 한 짓이 지나치게 도를 넘었을 뿐이지 이게 꼭 절대권력을 손에 쥔 사람뿐만 아니라, 쥐꼬리만한 권세만 있으면 그것을 부리고자 하는, 나를 포함한 모든 인간에게 있는 추한 모습이기 때문이다.

이 사람을 비판하면서 쉬지않고 기사를 써대는 기자들 또한 신문사의 ‘오너(사주)’ 밑에서 굽실거릴 것이고, 오너와 그의 권세를 나눠가진 사람들 또한 정도 차이만 있을 뿐 권세를 부리기는 위의 항공사 오너의 딸이나 매한가지일 것이다.

그리고 기자들 중에 필봉을 쥐고 휘두르는 권세를 사용해서 약점을 지닌 사람들을 압박하고 촌지를 받고 하는 사람들도 제법 있을 것이다.

 

갑을2

 

즉, 요즈음 유행하는 말인 ‘갑’이니 ‘을’이니 하는 것이 형태만 다르고 정도 차이만 있을 뿐이지 인류역사상 항상 있어왔고, 현재 이 세상 어디에나 존재하고 있고, 앞으로도 그럴 것이라는 말입니다.

그런데 모르긴 해도, 위의 사건이 터지고 나서 바로 다음 일요일인 어제 주일예배의 설교에서 수많은 목사가 그 부사장의 경우를 예화로 사용하며 열변을 토했을 것입니다.

이런부당한 일이 사라져야 한다고… 이런 횡포를 막아야 한다고… 정의를 실현해야 한다고…

하지만 과연 이런 목사들이 쥐꼬리만한 권세에서 자유로울까요? 교회 안에서는 그들도 ‘갑’ 노릇을 하고 있지 않을까요?

 

그렇다고 교회 안에서 꼭 목사들만 ‘갑’ 노릇합니까?

꼭 그렇지 않습니다. 장로들이 갑 노릇 하기도 하고, 집사나 구역장이나 무슨 위원장이나 목자나 셀리더나 순장이나 선교회 임원 등 감투 비슷한 것 하나씩 쓰고 있는 사람들도 얼마든지 권세를 부릴 수 있습니다.

물론 말로는 이것들이 다  ‘섬기는 직분’ 이라고 하지만…

 

갑을관계---대제목

 

저는 신문에서 “땅콩 리턴” 이라는 표현을 읽으면서 제 머리에 “땅콩 박사”의 별명을 가진 사람이 떠올랐습니다.

사실 이번 사건의 발단이 되었던 견과류는 땅콩이 아니라 마카대미아 넛이었지만 아마 견과류를 대표하는 것이 땅콩이라서 “땅콩 리턴” 이라고 부르는 것 같습니다.

제가 “땅콩 박사”를 떠올린 이유는 오래 전에 히스토리 채널에서 이 사람에 관한 다큐멘터리를 보고 깊은 감명을 받았기 때문입니다.

 

그는 미국의 흑인들에게 마틴 루터 킹 못지않게 존경받는 조지 와싱톤 카버(George Washington Carver, 1864-1943) 라는 사람입니다.

“땅콩 리턴”을 주도한 사람과는 아주 대조되는 인물입니다.

한 사람은 부모 잘 만난 덕에 재벌 3세로 태어나 자기가 노력도 하지 않은 지위를 차지해서 권세를 부리고 남용한 인물이고, 다른 한 사람은 흑인 노예의 아들로 태어난 비참한 팔자였지만 스스로 노력하고 성공해서, 얼마든지 높은 지위와 명예를 누리며 권위를 내세울 수 있었음에도 그것을 거부하고 겸손하고 온유하게 살다간 인물입니다.

 

george-washington-carver

 

조지 와싱톤 카버는 흑인 노예였던 아버지가 일찍 죽고 역시 노예였던 어머니는 백인 폭도들에게 끌려가서 행방불명이 된 후 모세스 카버라는 백인 주인 손에서 자라났는데, 카버가 그에게 성은 자기 것을 주고, 이름은 그냥 미국에서 가장 유명한 이름인 조지 와싱톤의 이름을 붙여줬기 때문에 이름이 조지 와싱톤 카버가 되었습니다.

태어나서부터 멸시와 천대를 당하고, 30년이 넘게 굶주림과 헐벗은 삶을 밥먹듯 살았던 그는 결코 한이 맺히거나 열등의식에 시달리거나 정신이 병들지 않고 평생을 고고하고 겸손하고 온유하게 살다간 멋진 사람이요, 무엇보다도 모범적인 그리스도인이었습니다.

 

그의 업적이 얼마나 대단한지 그가 죽는 날까지도 흑백차별이 극심했던 미국에서 백인들에게도 존경을 받고, 프랭클린 루즈벨트 대통령을 비롯한 세 명의 대통령이 그를 가장 존경하는 인물 중 하나로 꼽았고, 자동차왕 헨리 포드와 발명왕 토마스 에디슨, 그리고 인도의 간디 같은 사람이 그를 친구로 삼았습니다.

더구나 미국의 백인들도 몇 명 가입되지 못했던 영국 학사원의 회원으로 받아들여질 정도였으니 그의 공적은 실로 엄청난 것이었습니다.

 

그의 업적이 아주 많지만 가장 빛나는 것이 그에게 “땅콩 박사” 라는 별명을 안겨준 땅콩에 의한 농업혁명이었습니다.

그는 흑인에게는 교육의 기회가 거의 주어지지 않던 시절에 역경을 뚫고 서른이 넘어 대학을 졸업한 후 농학의 권위자가 되었습니다.

마침 그때 미국 남부지방이 목화만 심어서 황폐하게 되고 병충해로 얼룩져 미래가 암담해지고 당장 먹고 살 길이 막막한 상황에서, 조지 와싱톤 카버는 땅콩을 심는 운동을 벌여 미국의 농업경제 판도를 바꾸는 일대 농업혁명을 일으켰습니다.

 

usps98sta086

 

그리고 땅콩을 재배해서 재기를 노리는 농민들의 판로개척을 돕기 위해 연구에 연구를 거듭해서 땅콩으로 만드는 음식 105가지와 땅콩을 응용해서 만드는 실용품 200여 가지를 개발하는 천재성을 발휘했습니다.

그리고는 자기가 개발한 것의 특허를 원치않아 단돈 1 달러도 취하지 않고 땅콩 농가의 모든 사람에게 혜택이 돌아가게 했습니다.

 

그 결과 미국에서 일약 스타로 떠올라 발명왕 토마스 에디슨 같은 사람이  10만 달러의 연봉을 제시하며 함께 일 하자고 했지만, 그런 유의 제의를 정중히 거절하고 지방의 조그만 흑인대학 교수로서의 자신의 삶에 만족하며 살다가 생애를 마쳤습니다.

그 당시 그가 받은 교수 연봉이 천 오백 달러 정도였던 시절이니 그가 어떤 사람인지를 엿볼 수 있는 대목입니다.

 

제가 조지 와싱톤 카버를 존경하는 이유는 무엇보다도 그가 예수 그리스도의 사람으로 산다는 것이 무엇인지를 알고 실천했기 때문입니다.

평생을 흑인으로서 차별을 받고 무시를 당하고 살면서도 그 자신은 백인들을 미워하거나, 받은 멸시에 대해 원통해하거나 억울해하거나 대항하거나 보복하거나 한 적이 전혀 없고, 백인사회를 향하여 흑인들의 인권에 대해 단 한 마디도 말한 적이 없습니다.

그렇지만, 결과적으로 보면 백인과 흑인이 오늘날 평등한 삶을 사는데 있어 누구보다도 큰 공헌을 한 사람이 조지 와싱톤 카버입니다.

예수 그리스도의 사람이 살아가야 하는 원리로 평생을 일관되게 살며 모범을 보이면서 백인들도 감히 무시하지 못하는 삶을 고고하게 살았기 때문입니다.

 

carver 명언

 

“땅콩 박사” 조지 와싱톤 카버는 ‘땅콩 리턴”을 주도한 사람처럼 폼잡고, 으시대고, 짜증내고, 안하무인으로 권세를 부리는 삶이 아닌, 불평 불만 한 마디 없이 철저하게 예수 그리스도의 온유함과 겸손함과 사랑이 몸에 배어 섬기는 멋진 삶을 살았습니다.

이런 삶이 그리스도인의 삶이고 또 교회가 이 세상 사람들 앞에서 살아가야 하는 모습이 아닐까요?

 

 

예수님짜리 블로그를 이메일로 구독하기

 

 

 

답글 남기기

이메일 주소는 공개되지 않습니다. 필수 필드는 *로 표시됩니다

You may use these HTML tags and attributes: <a href="" title=""> <abbr title=""> <acronym title=""> <b> <blockquote cite=""> <cite> <code> <del datetime=""> <em> <i> <q cite=""> <s> <strike> <strong>